2023년 한국을 방문한 해외 여행객이 1,600만을 넘어섰습니다. 대체 1,600만이라는 여행객이 어느 지역을 주로 방문했으며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과 데이터를 통해 소멸하는 지방 지자체들이 지금껏 대응한 관광활성화라는 허울뿐인 외침의 방향을 제지하고 그 방향성을 이글에서 잠시 제시해 주려합니다.
1. 2023년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현황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1,606만 명(잠정)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관광 회복세를 반영한 수치입니다.
연도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증감률(전년 대비)
2019년 | 17,502,756명 | - |
2020년 | 2,519,118명 | -85.6% |
2021년 | 967,722명 | -61.6% |
2022년 | 3,201,603명 | +230.8% |
2023년 | 16,060,000명 | +401.7% |
2023년에는 코로나19 이전(2019년) 대비 92% 수준까지 회복하였으며 특히 중국·일본·미국·동남아 국가에서 방문객이 많았습니다.
1-1. 방문객 국적별 비중
국가2023년 관광객 수비율
중국 | 4,010,000명 | 25% |
일본 | 2,970,000명 | 18.5% |
미국 | 1,300,000명 | 8.1% |
대만 | 1,000,000명 | 6.2% |
홍콩 | 850,000명 | 5.3% |
베트남 | 800,000명 | 5.0% |
태국 | 750,000명 | 4.7% |
기타 국가 | 4,380,000명 | 27.2% |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뒤를 일본 미국 대만 홍콩 동남아 국가들이 잇고 있습니다.
1-2. 착각하는 여행
예로 2023년도 중국인의 해외여행객 수는 약 8,700만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3년 중국 자국민 14억 명 중 8,700만이 해외여행을 나갔다는 겁니다. 그중 400만 명이 우리나라를 찾아왔다고 하니 과연 이 데이터에서 무엇을 우리가 고민해야 할까요? 또 2019년처럼 한류를 외쳐야 할까요? 2019년도 중국인 해외여행객수는 1억 5,500만 명이었고 그중 800만이 우리나라를 찾아와 한류 열풍이라 온 매스컴이 떠들썩했었는데 냉정하게 그것이 한류였을까요? 그럼 1억 4,700만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진짜로 냉정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여행하나로 소멸하는 지자체들의 살길은 아주 쉽습니다.
그 쉬운 길을 버리고 머리 터지게 황새걸음 쫓아가는 꼴이란?
이 글에서는 더 이상의 방향제시는 하지 않겠으며 차후에 원하시는 곳에만 하는 걸로 하겠습니다.
1-3. 중국인 해외여행객 수 (최근 5년 비교)
년도/중국인 해외여행객 수/비고
2019년 | 1억 5,500만 명 | 코로나19 이전 최고 기록 |
2020년 | 2,000만 명 이하 | 팬데믹으로 급감 |
2021년 | 800만 명 이하 | 해외여행 제한 지속 |
2022년 | 1,200만 명 | 제한적 증가 |
2023년 | 약 8,700만 명 | 여행 회복세 본격화 |
2.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은 지역
외국인 관광객들은 대부분 서울 제주 부산 인천 경기 강원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2-1. 주요 방문 지역 및 관광객 비율
방문 지역주요 방문객 국적주요 명소비율(중복 추정치)
서울 | 중국, 일본, 미국, 대만 | 명동, 강남, 홍대, 경복궁 | 80% |
제주도 |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 | 한라산, 성산일출봉, 협재해변 | 35% |
부산 | 일본, 중국, 미국 | 해운대, 감천문화마을, 광안리 | 25% |
인천 | 중국, 홍콩, 동남아 | 차이나타운, 송도, 강화도 | 15% |
경기 | 미국, 중국, 일본 | 에버랜드, DMZ, 한국민속촌 | 12% |
강원도 | 동남아, 일본 | 평창, 속초, 스키장 | 10% |
2-2. 주요 방문지 분석
① 서울 (80%)
- 주요 방문객: 중국 일본 미국 대만
- 핵심 명소: 명동 강남 홍대 경복궁 북촌 한옥마을 동대문 쇼핑타운
- 관심 분야: 쇼핑 한류(K-POP, K-드라마) 역사문화 관광
② 제주도 (35%)
- 주요 방문객: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
- 핵심 명소: 성산일출봉 한라산 협재해변 우도
- 관심 분야: 자연경관 골프 힐링 여행
③ 부산 (25%)
- 주요 방문객: 일본 중국 미국
- 핵심 명소: 해운대 감천문화마을 국제시장 태종대
- 관심 분야: 바다 전망 음식(해산물) 한류 촬영지 방문
④ 인천 (15%)
- 주요 방문객: 중국 홍콩 동남아
- 핵심 명소: 차이나타운 송도 강화도
- 관심 분야: 역사 탐방 카지노 쇼핑
⑤ 경기 (12%)
- 주요 방문객: 미국 중국 일본
- 핵심 명소: 에버랜드 DMZ 한국민속촌
- 관심 분야: 가족 여행 체험 관광
⑥ 강원도 (10%)
- 주요 방문객: 일본 동남아
- 핵심 명소: 평창 속초 스키장 강릉 경포대
- 관심 분야: 겨울 스포츠 자연경관
3. 외국인 관광객의 주요 관심 분야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주로 어떤 활동을 즐겼는지에 대한 분석입니다.
관심 분야주요 방문 지역주요 관광객 국적
쇼핑 | 서울 (명동, 동대문), 부산 (국제시장) | 중국, 일본, 홍콩, 태국 |
한류(K-POP, 드라마) | 서울 (강남, 홍대, SM타운) | 일본, 동남아, 미국 |
전통문화 체험 | 서울 (경복궁, 북촌), 전주 (한옥마을) | 미국, 유럽, 일본 |
자연관광 | 제주도, 강원도 | 중국, 대만, 동남아 |
음식 탐방 | 서울, 부산, 전주 | 미국, 일본, 홍콩 |
스포츠 관광 | 강원도 (스키), 서울 (야구, 축구) | 일본, 동남아, 미국 |
카지노 관광 | 인천, 강원도 | 중국, 홍콩, 대만 |
특히 한류(K-POP, K-드라마)와 쇼핑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전통문화 체험과 자연경관을 즐기는 관광객도 많았습니다.
4. 결론
2023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약 1,600만 명)은 주로 서울 제주 부산 등 대도시와 관광 명소를 찾았습니다.
- 서울(80%): 쇼핑, 한류 관광 중심
- 제주(35%): 자연경관과 힐링 여행
- 부산(25%): 해변과 음식 관광
관광객들은 쇼핑 한류 전통문화 자연관광 등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중국과 일본 동남아 관광객들이 주요 고객층이었습니다.
향후 한국 관광 산업이나 여행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며 각 지자체 별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